티스토리 뷰

카테고리 없음

상보 적 과학

페어리즈 2019. 7. 27. 16:00

- 상보 적 과학




5장은 앞에서 나온 내용을 종합하여 말하고 있고 6장은 상보적 과학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에 대한 내용이다. 앞의 4장은 바로 제목에 나온대로 장하석의 온도계의 철학을 읽고


상보적 과학, 즉 과학사 과학철학에서 해야 할 일이 과거의 신기한 실험을 복원해서 더 나아가는 것이라니. 아 이건 좀 너무하십니다. 장하석 교수님. Jong


일 밤 12시; 물은 항상 100도에서 끓는가? 강의; 강의 슬라이드 미디어과학철학09_교과서의 과학을 넘어.pdf.‎평가 방식 · ‎주별 계획 에피소드 과학철학 2017년 2학기





귀납을 상보적으로 사용하되, 언제든 틀릴 가능성을 열어놓고 모든 비판을 투명하게앞서 적은 바와 같이 현대 경험 과학은 언제든 틀린걸 인정할 태도를 갖추고 있다 열린 사회와 그 적들


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 more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글 보관함